경기도 화성시에 있는 용주사는 흥미로운 사찰이다. 조선 제22대 임금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와 어머니 혜경궁 홍씨를 기리는 위패를 모신 왕실 사찰인 것.

여기에 사람들이 잘 모르는 한 가지 사연이 더 있다. 청록파 시인 중 한 명인 조지훈(1920~1968)이 이 절에서 그 유명한 ‘승무(僧舞)’라는 명시를 탄생시켰다.

용주사 한 켠에 돌로 된 ‘승무’ 시비가 세워져 있는데, 글씨가 흐릿하여 보지 못하고 놓치는 방문객들이 많다.

궁금해서 조지훈의 책(1959년에 쓴 ‘시의 원리’)을 찾아봤더니 당시 용주사에서 비구니승의 승무를 본 감흥과 산고의 고통이 대단했던 듯도 싶다. 조지훈이 용주사를 찾은 게 열아홉 때였다니 놀라울 뿐이다.

“내가 승무를 처음 본 건 열아홉 살 적 어느 가을날이다. 용주사(당시는 수원)에 큰 재(齋)가 들어 승무가 열린다는 소식을 듣고 내려가지 않을 수 없었다. 그날 밤 나의 정신은 온전한 예술 정서에 싸여 승무 속에 용입(溶入)되고 말았다. 재가 파한 다음 날에는 밤 늦게까지 절 뒷마당 아래에서 넋 없이 서 있는 나를 깨닫지 못했던 것이다.”

그의 글을 보면 승무 춤을 보고 절에서 하루를 묵은 것 같다. 11개월 뒤인 이듬해 여름 ‘얇은 사(紗) 하이얀 고깔은 고이 접어서 나빌레라/ 파르라니 깎은 머리 박사(薄紗) 고깔에 감추오고~’로 시작하는 불후의 명시가 세상에 나왔다.

그런 조지훈은 죽어서 어머니 곁에 묻혔다. 1968년 고향인 경북 영양에 있던 어머니의 묘를 경기도 남양주로 이장했다. 더 자주 찾기 위해서였다고 한다. 하지만 공교롭게 그해 조지훈이 세상을 떠나면서 모친 묘 아래에 무덤 자리를 마련하게 되었다.

일전에 남양주 작은 야산에 자리잡은 조지훈의 묘를 찾았을 땐 눈이 소복하게 내렸다. 날씨는 꽤 추웠지만, 모자의 정은 따뜻해 보였다. 조지훈 묘를 쓰다듬듯 눈을 쓸어내려 주었다. 소리없이 눈이 뚝뚝 떨어졌다. <글·사진=노운, 여행작가>

 

‘승무’라는 명시로 유명한 조지훈 시인의 묘로 가는 길.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의 작은 야산이다.
‘승무’라는 명시로 유명한 조지훈 시인의 묘로 가는 길.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의 작은 야산이다.
경기도 화성시 용주사 경내에 세워진 ‘승무’ 시비.
경기도 화성시 용주사 경내에 세워진 ‘승무’ 시비.
용주사는 조선 제22대 임금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와 어머니 혜경궁 홍씨를 기리는 위패를 모신 왕실 사찰로 유명하다.
용주사는 조선 제22대 임금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와 어머니 혜경궁 홍씨를 기리는 위패를 모신 왕실 사찰로 유명하다.
조지훈의 비석에는 ‘지훈 한양조공 동탁지묘’라고 쓰여 있다.
조지훈의 비석에는 ‘지훈 한양조공 동탁지묘’라고 쓰여 있다.
조지훈 묘 전경. 뒤쪽은 어머니 전주 류씨의 묘소다. 조지훈의 아버지 조헌영은 일제하에서 조선어학회 표준말 사정위원과 큰사전 편찬전문위원을 지냈으며, 해방 이후엔 제헌국회의원 등을 역임하다가 한국전쟁 때 납북되었다.
조지훈 묘 전경. 뒤쪽은 어머니 전주 류씨의 묘소다. 조지훈의 아버지 조헌영은 일제하에서 조선어학회 표준말 사정위원과 큰사전 편찬전문위원을 지냈으며, 해방 이후엔 제헌국회의원 등을 역임하다가 한국전쟁 때 납북되었다.

 

저작권자 © 로컬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